4.사회 초년생을 위한 3년만에 내집마련법
*사회 초년생을 위한 3년만에 내집마련법
20평형대 2억원짜리 집을 마련목표한다면 신입직원은 몇 년 걸리나?
-연봉 3천만원 직장인 기준이면 한 푼도 쓰지
않아야 7년,
-연봉 2천5백만원이면 8.46년 정도 걸린다
-연봉 1천5백만원에 시작하는 새내기 직장인이 내집마련하려면 최소한
10년 이상 걸린다.
(물론 시세는 시간이 지나면서 변동되고 연봉도 올라가겠지만 여기선 변동되지 않는 다는 가정 한 것임)
사회 초년생이자 신입 샐러리맨이 실패하는 까닭은 ?
대다수 사회초년생은 취직이 된 이후 몇 년간은 재테크 또는 내집마련에 대한
개념이 서지 않는 경우가 많다. 개념 없이 고생해서 번 돈을 흥청망청 사용하다보면 몇 년이 지나도 돈 한푼 못 모으기 일쑤이다. 실 쥐꼬리만한
월급에 이것저것 떼고 나면 몇 년이 지나도 수중에 남는 게 별로 없다는 것은 경험을 해본 사람들이라면 이해할 것이다.
그러다가 결혼을
준비하면서부터 전세를 살 것인가, 내집마련을 할 것인가를 결정하며 알아보는 순간에야 그동안 내집마련준비가 안된
것을 뒤늦게 깨닫기 시작한다. 청약통장이 없는 자신을 깨닫고 자신이 남들보다 한발 뒤져있는 상황을 인식하게 된다.
사회초년생시절에 해야할 3가지 행동수칙.
1.직장생활을 하면서 받는 월급으로 무조건 청약통장에 가입하라!
-청약통장은 3가지가 있다는 것을 알아라!
청약저축-임대아파트,주공,시영아파트등을 분양받을수있다.
청약부금-삼성,현대같은
민영건설업체가 짓는 20평-30평형대 아파트를 분양받을수있다.
청약예금-적금이 아닌 한큐에 목돈을 넣어두는 청약예금인데, 다양한 평형의
민간 아간트를 분양받을수있다.
-신입직원에게는 청약부금이 좋다.
청약부금의 경우 2년을 연체 없이 부어야 1순위가 된다는 점에서 약간의 인내가 필요하지만 꾸준히
넣어 1순위 자격을 얻게되면 뭔가 이룬 듯한 뿌듯함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만약에 임대아파트를 노린다면 청약저축통장에 가입하라!
청약저축은 매달 10만원씩 30개월 적립해야 1순위 자격 발생한다.
향후 임대아파트를 비롯해 택지개발지구 및 뉴타운 등이 개발돼 현재 사회 초년생들이 결혼을 하고 내집마련을 할 때쯤이면 아파트 분양과
맞물릴 시기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청약저축은 부모님과 같은 세대를 이루고 있으면 가입이 안된다. 본인이 단독 세대주라면 청약저축에
가입할수있다.
2.저축도 해야 한다.
월 50만원은 추가로 저축하라!
청약통장을 활용, 당첨이 됐다하더라도 최소한 계약금(분양가의 20%)이 필요하다.
분양가
2억원이라면 4천만원(분양가의 20%)이 필요하므로 계약금정도는 미리 마련해두어야 한다. 매월 50만원을 3년간 저축하면 대략 청약통장의 돈까지
합치면 대략 2천만원 조금 넘게 돈을 모을수있다.
3. 부동산에 대한 공부를 하라!
자금 여력이 없다고해도 내집마련에 대한 지식 및 노하우를 쌓아두라!
2년뒤부터 청약할 수
있고 3년뒤부터는 계약금정도는 마련할수있다. 또 모기지대출을 이용할수있기에 3년안에 내집마련이 꿈이 아니다. 2,3년전부터 차근차근
부동산에 대해 공부를 하고 알아간다면 적어도 내집마련을 해야할 시점이 되면 전문가 못지 않은 이론이 쌓여있을 것이다.